본문 바로가기
AWS

AMAZON 기타서비스

by yutju 2025. 8. 13.

정의

  • CloudFormation은 AWS 인프라를 선언적(declarative) 방식으로 정의하고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즉, “무엇을 만들겠다”를 템플릿으로 작성하면, CloudFormation이 자동으로 순서에 맞춰 생성해 줍니다.

특징

  • 대부분의 AWS 리소스 지원 (EC2, S3, ELB, Security Group 등)
  • 인프라 구성 템플릿은 JSON 또는 YAML 형식
  • 반복 가능하고, 일관성 있는 인프라 배포 가능

예시

CloudFormation 템플릿에서 작성할 수 있는 내용:

  1. Security Group 생성
  2. 해당 Security Group을 사용하는 EC2 인스턴스 2개 생성
  3. S3 버킷 생성
  4. EC2 앞에 로드 밸런서(ELB) 생성

CloudFormation은 이 순서와 구성대로 자동으로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 요약

  • 선언적 방식으로 인프라를 정의
  • 자동으로 생성 순서 관리
  • 반복적·일관성 있는 환경 구축 가능

1.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 (Infrastructure as Code, IaC)

  • 수동으로 리소스를 생성하지 않음 → 관리·통제 용이
  • 인프라 변경 사항을 코드로 리뷰 가능 → 변경 추적 및 검증 가능

2. 비용 관리 (Cost Management)

  • 스택 내 모든 리소스에 식별 태그(tag) 자동 부여 → 스택별 비용 확인 가능
  • CloudFormation 템플릿으로 리소스 비용 예측 가능
  • 비용 절감 전략 예시:
    • 개발 환경(Dev)에서 매일 오후 5시 템플릿 삭제 → 오전 8시 재생성 자동화
    • 안전하게 리소스를 사용하면서 비용 절감 가능

3. 생산성 향상 (Productivity)

  •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삭제 및 재생성 가능 → 테스트 환경 구축·실험 용이
  • 템플릿 기반으로 자동 다이어그램 생성 가능 → 인프라 구조 시각화

4. 선언적 프로그래밍 (Declarative Programming)

  • 리소스 생성 순서나 오케스트레이션을 직접 고민할 필요 없음
  • 기존 템플릿 활용 가능 → 반복적인 작업 재발명 불필요
  • AWS 문서와 커뮤니티에서 공유된 템플릿 활용 가능

5. 폭넓은 리소스 지원

  • 거의 모든 AWS 리소스 지원
  • 지원하지 않는 리소스는 Custom Resource를 통해 확장 가능
  • 강력한 유연성으로 거의 모든 인프라 환경 구성 가능

 

CloudFormation + Infrastructure Composer


개요

  • Infrastructure Composer는 CloudFormation 템플릿 기반의 인프라를 시각적으로 구성·검토할 수 있는 도구
  • 생성된 스택 내 모든 리소스와 관계를 한눈에 볼 수 있음

예시: WordPress CloudFormation 스택

  • CloudFormation으로 WordPress 환경을 배포하면:
    • EC2 인스턴스, RDS, S3, Security Group, ELB 등 모든 리소스 확인 가능
    • 리소스 간 관계 (예: ELB → EC2, EC2 → RDS) 시각화 가능
  • 이를 통해 인프라 아키텍처를 즉시 이해하고 관리 가능

📌 정리

  • CloudFormation + Infrastructure Composer = 코드 기반 + 시각화
  • 템플릿 작성 → 스택 배포 → 관계 시각화까지 전체 인프라 라이프사이클을 손쉽게 관리 가능

 

 

CloudFormation – 서비스 역할(Service Role)


정의

  • **서비스 역할(Service Role)**은 CloudFormation이 사용자를 대신해 스택 리소스를 생성·수정·삭제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IAM 역할(IAM Role)**입니다.

주요 기능

  • 사용자가 스택 리소스를 직접 관리할 권한이 없어도, CloudFormation을 통해 간접적으로 생성·수정·삭제 가능
  • CloudFormation이 리소스에 접근할 때는 해당 IAM Role의 권한을 사용

사용 사례

  •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을 지키면서도 스택 리소스를 배포해야 할 때
  • 특정 사용자가 모든 AWS 리소스 권한을 가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스택 배포는 가능하게 하고 싶을 때

권한 요구 사항

  • 사용자는 iam:PassRole 권한이 있어야 함
    • 이유: CloudFormation이 사용할 IAM Role을 사용자 대신 전달(pass)해야 하기 때문

📌 정리

  • CloudFormation 서비스 역할 = "CloudFormation이 대신 리소스를 관리하는 권한 위임"
  •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권한 설계 방식

 

 

Amazon Simple Email Service (SES)

Amazon SES는 글로벌 규모에서 안전하게 이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완전관리형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 주요 기능

  • 이메일 송수신: Inbound(수신) / Outbound(발송) 지원
  • 통계 및 모니터링: 이메일 전달, 반송(Bounce), 피드백 루프, 열람(Open) 통계 제공
  • 보안 및 인증: DKIM(DomainKeys Identified Mail)과 SPF(Sender Policy Framework) 지원
  • IP 관리 유연성: 공유 IP, 전용 IP, 고객 소유 IP 사용 가능
  • 발송 방법: AWS 콘솔, API, SMTP를 통한 이메일 발송

2. 추가 기능

  • Reputation Dashboard: 이메일 발송 평판 및 성능 모니터링
  • Anti-spam Feedback: 스팸 신고 피드백 제공

3. 사용 사례

  • 트랜잭션 이메일(주문 확인, 비밀번호 재설정 등)
  • 마케팅 이메일 캠페인
  • 대량 이메일 발송

 

 

Amazon Pinpoint 개요

Amazon Pinpoint는 대규모 양방향(발송/수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주요 기능

  • 지원 채널: 이메일, SMS, 푸시 알림, 음성, 앱 내 메시징
  • 양방향 메시징: 고객으로부터 답장을 받을 수 있음
  • 타겟팅 및 개인화: 세분화된 고객 그룹(Segment)에 맞춘 맞춤형 메시지 전송 가능
  • 대규모 확장성: 하루 수십억 건의 메시지 처리 가능
  • 캠페인 관리: 메시지 템플릿, 전송 일정, 세분화된 대상, 전체 캠페인 생성 가능

2. 사용 사례

  • 마케팅 캠페인 전송
  • 대량 SMS 발송
  • 트랜잭션 메시지 전송

3. SNS / SES와의 차이

  • SNS / SES: 메시지별로 대상, 내용, 전송 일정을 직접 관리
  • Pinpoint: 템플릿, 전송 일정, 타겟 세그먼트, 전체 캠페인을 한 번에 관리 가능 → 마케팅 캠페인에 최적화

 

AWS Systems Manager (SSM) – Session Manager

Session Manager는 EC2 및 온프레미스 서버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관리 도구입니다.

1. 주요 특징

  • SSH 없이 접속: SSH 키, Bastion Host, 포트 22 없이도 서버에 접속 가능
  • 보안 강화: 포트 22를 열 필요가 없으므로 공격 표면 감소
  • 지원 OS: Linux, macOS, Windows
  • 세션 로깅: 접속 기록을 S3 또는 CloudWatch Logs로 전송 가능

2. 장점

  • 보안 사고 위험 최소화
  • 중앙 집중식 접근 관리 가능
  •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서버 모두에서 통합 관리

 

AWS Systems Manager (SSM) – Run Command

Run Command는 여러 서버(EC2 또는 온프레미스)에 스크립트나 명령어를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1. 주요 특징

  • 스크립트/명령 실행: SSM 문서(Document)를 사용하거나 개별 명령 실행 가능
  • 멀티 인스턴스 실행: 리소스 그룹을 활용해 여러 서버에 동시에 명령 실행
  • SSH 불필요: SSH 접속 없이 명령 실행 가능
  • 결과 관리: AWS 콘솔에서 출력 확인, S3 버킷 또는 CloudWatch Logs로 전송 가능

2. 통합 기능

  • 알림 연동: 명령 실행 상태(진행 중, 성공, 실패)를 SNS로 전송 가능
  • 자동화 트리거: EventBridge를 통해 명령 실행 자동화 가능
  • 보안 및 감사: IAM 권한 제어 및 CloudTrail 로깅으로 실행 내역 추적

3. 장점

  • 중앙 집중식 서버 관리 및 운영 자동화 가능
  • 보안 위험 최소화 (SSH 불필요, IAM 권한 기반)
  • 서버 운영 효율성 향상 (멀티 인스턴스 동시 명령 실행, 로그 관리 용이)

 

AWS Systems Manager (SSM) – Patch Manager

Patch Manager는 관리되는 서버의 패치(업데이트)를 자동화하는 기능입니다.

1. 주요 기능

  • 자동 패치 관리: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적용
  • 지원 대상: EC2 인스턴스 및 온프레미스 서버
  • 지원 OS: Linux, macOS, Windows
  • 패치 일정 관리: 즉시 패치(On-demand) 또는 유지보수 시간(Maintenance Windows)에 맞춘 스케줄 패치 가능
  • 컴플라이언스 보고서: 패치 상태 스캔 및 누락된 패치 보고서 생성 가능

2. 장점

  • 서버 보안 강화: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 운영 효율성 향상: 수동 패치 작업 불필요
  • 중앙 집중식 관리: 멀티 OS, 멀티 인스턴스 환경에서도 일관된 패치 관리 가능

 

AWS Systems Manager – Maintenance Windows (유지관리 창)

Maintenance Window는 AWS Systems Manager에서 관리되는 인스턴스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시간과 일정을 정의하는 기능입니다. 주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설치 등 예측 가능한 시간에 작업을 자동화할 때 사용됩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관리형 인스턴스에서 반복적인 운영 작업을 자동화
    • 예시:
      • OS 패치
      • 드라이버 업데이트
      • 소프트웨어 설치/업데이트
  • Maintenance Window 구성 요소:
    1. 스케줄(Schedule): 유지관리 창이 열리는 시간. cron 또는 rate 표현식으로 정의 가능
      • 예시: 매주 일요일 오전 2시
    2. 기간(Duration): 유지관리 창이 열려 있는 시간
      • 예시: 4시간
    3. 등록된 인스턴스(Registered Instances): 작업 대상 EC2 또는 온프레미스 인스턴스
    4. 등록된 작업(Registered Tasks): 창이 열리는 동안 실행할 구체적인 작업
      • 예: 스크립트 실행, 패치, SSM 문서(Automation Document) 실행

 

AWS Systems Manager – Automation (자동화)

Automation은 EC2 인스턴스 및 기타 AWS 리소스의 일반적인 유지관리 및 배포 작업을 간소화해 주는 기능입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반복적이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 예시:
      • EC2 인스턴스 재시작
      • AMI 생성
      • EBS 스냅샷 생성
  • Automation Runbook (자동화 실행 문서):
    • **SSM 문서(SSM Documents)**를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나 AWS 리소스에 대해 수행할 작업 정의
    • AWS에서 미리 정의된 문서 사용 가능 또는 사용자 정의 문서(Custom) 생성 가능
  • 자동화 트리거 방식:
    1. 수동 실행: AWS 콘솔, AWS CLI, SDK를 통해 직접 실행
    2. EventBridge 연동: 이벤트 기반 트리거
    3. 스케줄 실행: Maintenance Window와 연계
    4. AWS Config 연동: 규정 준수(rule) 위반 시 자동 수정(Remediation)

 

AWS Cost Explorer

Cost Explorer는 AWS 비용과 사용량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며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비용과 사용량을 이해하고 최적화
    • AWS 사용량과 비용 추이를 시간별, 월별, 계정별, 리소스별로 확인 가능
  • 주요 기능:
    1. 커스텀 보고서 생성:
      • 비용 및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맞춤형 보고서 생성 가능
    2. 상세 분석:
      • 총 비용/사용량(전체 계정 기준)
      • 월별, 시간별, 리소스별 세부 분석
    3. 최적의 Savings Plan 선택:
      • 요금 절감을 위해 적합한 Savings Plan 추천
    4. 사용량 예측:
      •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대 12개월 미래 사용량 예측

추가 정보:

  • 비용과 사용량 데이터를 쉽게 시각화하여 비용 절감 포인트를 파악 가능
  • 다양한 필터와 그룹화를 통해 세부적인 분석 가능
  • Savings Plan과 결합하면 청구서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AWS Cost Anomaly Detection (비용 이상 탐지)

Cost Anomaly Detection은 **머신러닝(ML)**을 사용하여 AWS 비용과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지출 패턴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서비스입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비정상적인 비용 증가나 일회성 비용 스파이크를 조기에 감지하여 비용 관리
  • 자동 학습:
    • 계정별 과거 비용 패턴을 학습
    • 임계치를 수동으로 정의하지 않아도 이상 지출 감지 가능
  • 모니터링 대상:
    • AWS 서비스
    • 멤버 계정
    • 비용 할당 태그(Cost Allocation Tags)
    • 비용 카테고리(Cost Categories)
  • 알림 및 보고:
    • 이상 탐지 리포트 제공 (Root-cause 분석 포함)
    • 알림 수신 가능:
      • 개별 알림(Individual Alerts)
      • 일간/주간 요약 보고(Daily/Weekly Summary)
    • SNS를 통해 알림 발송

AWS Outposts

AWS Outposts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환경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AWS 클라우드를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를 통합 관리
    • 온프레미스에서도 AWS 서비스, API, 도구를 그대로 사용 가능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특징:
    • 기존 IT 시스템을 두 가지 방식으로 관리:
      1. AWS 클라우드: AWS 콘솔, CLI, API 사용
      2. 온프레미스 인프라: 기존 관리 방식
  • AWS Outposts 특징:
    • “서버 랙(Server Racks)” 형태로 제공
    • 클라우드와 동일한 AWS 인프라, 서비스, API, 도구 제공
    •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직접 애플리케이션 구축 가능
  • 관리 및 책임:
    • AWS가 Outposts Rack 설치 및 관리
    • 사용자는 물리적 보안(Physical Security) 담당

 

AWS Outposts – 장점(Benefits)

AWS Outposts를 사용하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AWS 클라우드와 동일한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주요 장점

  1. 저지연(Low-latency) 액세스
    •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가까워서 응답 속도가 빠름
  2. 로컬 데이터 처리(Local data processing)
    •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지 않고 현장에서 처리 가능
  3. 데이터 주권(Data residency)
    • 데이터가 특정 위치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도록 요구되는 규제 준수 가능
  4.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용이
    •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할 때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가능
  5. 완전 관리형 서비스(Fully managed service)
    • 하드웨어 설치, 유지보수, 모니터링을 AWS가 담당

AWS Batch

AWS Batch대규모 배치 처리(batch processing)를 완전 관리형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핵심 포인트

  • 목적:
    • 수십만 개의 배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
    • 인프라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 배치 작업 수행 가능
  • 배치 작업(Batch Job)이란:
    • 시작과 종료가 있는 작업
    •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작업(Continuous Job)과 구분됨
  • AWS Batch 특징:
    1. 동적 컴퓨팅 리소스 할당:
      • 필요에 따라 EC2 인스턴스 또는 Spot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생성
      • 적절한 CPU와 메모리를 자동으로 프로비저닝
    2. 작업 제출 및 스케줄링:
      • 사용자가 배치 작업 제출 또는 예약 → AWS Batch가 실행
    3. Docker 기반 실행:
      • 배치 작업은 Docker 이미지로 정의되며 ECS(ECS 컨테이너 서비스)에서 실행
  • 장점:
    • 비용 최적화 가능 (Spot 인스턴스 활용)
    • 인프라 관리 부담 감소 → 작업 자체에 집중 가능

 

AWS Batch vs AWS Lambda 비교

AWS에서 BatchLambda는 모두 작업 자동화를 지원하지만, 사용 목적과 제약 사항이 다릅니다.


항목                                                      AWS Lambda                                                           AWS Batch

 

실행 시간(Time limit) 제한 있음 (최대 15분) 제한 없음
런타임(Runtimes) 제한된 언어/런타임 지원 Docker 이미지라면 모든 런타임 가능
디스크 공간 임시 디스크 공간 제한 EBS 또는 인스턴스 스토어 활용 가능
서버 관리 완전 서버리스(Serverless) EC2 기반 (AWS가 관리 가능)
주요 특징 이벤트 기반, 소규모 작업에 적합 대규모 배치 작업, 장시간 처리 작업에 적합
 

정리:

  • Lambda는 짧고 이벤트 기반 작업에 적합
  • Batch는 장시간, 대규모 처리 작업에 적합하며, 런타임과 디스크 공간 제약이 거의 없음

 

Amazon AppFlow

Amazon AppFlow는 완전 관리형(fully managed) 데이터 통합 서비스로, SaaS(Software-as-a-Service) 애플리케이션과 AWS 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복잡한 통합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API를 바로 활용해 데이터 연동이 가능합니다.


주요 특징

  • 데이터 소스(Sources):
    • Salesforce
    • SAP
    • Zendesk
    • Slack
    • ServiceNow
  • 데이터 목적지(Destinations):
    • AWS 서비스: Amazon S3, Amazon Redshift
    • 비 AWS 서비스: Snowflake, Salesforce 등
  • 전송 주기(Frequency):
    • 일정 기반(Schedule)
    • 이벤트 기반(Event-driven)
    • 필요 시(On-demand) 실행
  • 데이터 처리 기능:
    • 데이터 변환(Data Transformation)
    • 필터링(Filtering) & 유효성 검증(Validation)
    • 암호화(Encryption)
    • 전송 경로:
      • 공용 인터넷
      • AWS PrivateLink를 통한 비공개 연결
  • 장점:
    • 통합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음
    • API를 즉시 활용 가능
    • 보안·데이터 품질 관리 내장

Amazon AppFlow

Amazon AppFlow는 완전 관리형 데이터 통합 서비스로, SaaS(Software-as-a-Service) 애플리케이션과 AWS 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통합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API를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소스 (Sources)

  • Salesforce
  • SAP
  • Zendesk
  • Slack
  • ServiceNow

2. 데이터 목적지 (Destinations)

  • AWS 서비스: Amazon S3, Amazon Redshift
  • 비 AWS 서비스: Snowflake, Salesforce 등

3. 전송 주기 (Frequency)

  • 스케줄 기반(Scheduled)
  • 이벤트 기반(In response to events)
  • 필요 시(On-demand) 실행

4. 주요 기능

  • 데이터 변환(Data Transformation)
  • 필터링 및 유효성 검증(Filtering & Validation)
  • 암호화(Encryption)
  • 데이터 전송 경로:
    • 공용 인터넷(Public Internet)
    • AWS PrivateLink를 통한 비공개 연결

5. 장점

  • 복잡한 통합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음
  • 다양한 SaaS와 AWS 간 데이터 흐름을 쉽게 구축
  • 보안 및 데이터 품질 관리 내장

 

AWS Amplify –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AWS Amplify확장 가능한(Scalable) 풀스택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와 서비스 세트입니다.


주요 기능

  • 인증(Authentication)
  • 스토리지(Storage)
  • API (REST, GraphQL 지원)
  • CI/CD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 PubSub (실시간 메시징)
  • 분석(Analytics)
  • AI/ML 예측(Predictions)
  • 모니터링(Monitoring)

배포 방식

  • GitHub, AWS CodeCommit, Bitbucket, GitLab과 소스 코드 연결
  • 또는 직접 업로드하여 배포 가능

 

Instance Scheduler on AWS

Instance Scheduler on AWS는 AWS에서 제공하는 CloudFormation 기반 솔루션으로, 특정 시간에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시작/중지하여 **비용을 절감(최대 70%)**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서비스 자체가 아니라, CloudFormation 템플릿을 통해 배포되는 구현 솔루션입니다.


주요 특징

  • 자동 시작/중지:
    • 예: 업무 시간 외에 회사의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 지원 리소스:
    • EC2 인스턴스
    • EC2 Auto Scaling 그룹
    • RDS 인스턴스
  • 스케줄 관리:
    • DynamoDB 테이블에서 스케줄 정의
  • 작동 방식:
    • 리소스 태그(tags)와 Lambda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시작/중지
  • 멀티 계정·멀티 리전 지원:
    • 여러 AWS 계정과 리전에 걸친 리소스 제어 가능

📌 정리

  • 인프라를 24시간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Instance Scheduler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 극대화 가능
  • CloudFormation으로 쉽게 배포하고, DynamoDB + Lambda로 자동화 제어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WELL - ARCHTECTED FRAMEWORK  (1) 2025.08.13
HPC  (4) 2025.08.13
more solution architect  (0) 2025.08.12
Disaster Recovery Overview  (3) 2025.08.12
VPC  (3)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