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 공부방법
필기 공부법 같은 경우 나는 정보통신학과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컴퓨터활용능력1급 과 정보처리기사 정보통신기사를 공부했던 경험이 있었다. (정보통신기사는 실기에서 아쉽게 떨어졌었음... 2025년 1회차는 가채점 결과 합격권이라 다행임) 이 뿐만 아니라 리눅스 vmware를 사용하여 메일 서버 및 RAID를 구축해본 경험도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별도의 교재 없이 CBT기출 5개년 정도를 공부하여 오답 위주로 또 공부를 했다. 필기의 경우 정보처리기사, 정보통신기사 필기 문제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 그 결과 88점이라는 점수를 받았었다.
실기 공부방법
실기는 햄릿슈님의 유튜브 입문영상부터 최근 영상까지 전부 봤다. 컴퓨터로 따라서 실습을 했었고 단답 같은 경우도 정보처리기사, 정보통신기사에서 공부했던 내용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도움이 됐다. 또한 햄릿슈님 영상을 바탕으로 우진아빠님의 모의고사 시험을 봤었다. 모의고사 문제들이 도움이 됐다. 또한 단답형의 경우 다른 티스토리 블로그등에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이 부분만 공부해도 커버가 될 것이다.
실기같은 경우 라우터에 명령문 입력과 단답문제 윈도우 서버 문제로 구성되는데 윈도우 서버문제는 단순한 작업이 많기 때문에 상당히 쉽다. 라우터의 경우 명령문을 암기하는걸 추천한다.
랜툴의 경우 집에 있는 랜툴기로 연습을 했었는데 실제 시험장에서 주는 랜선의 경우 UTP 꼬임선이 매우 부드러워서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소모되지 않았다. 10분동안 양쪽 케이블을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연습을 해보는게 좋은 것 같다. 실기 비용이 78000원인가해서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한번에 합격하는게 바람직하다. 랜툴의 경우 피복 절단기와 함께 구매하는걸 추천한다. 연습 안해본 사람들은 상당히 오래걸릴 것이다. 내 옆자리 사람은 시간안에 랜선을 못만들었었다.

나 같은 경우 라우터 한 문제 명령어를 잘못 입력해서 도저히 문제가 안풀려 화나서 더 안풀고 그냥 나왔다. 예상대로 단답형과 윈도우 서버 케이블 문제는 다 맞춰서 라우터 1문제를 틀린 94.5점이 나왔다.
나같은 경우에는 작년에 아쉽게 떨어진 정보통신기사를 합격하기 위해 내용이 겹치는 네트워크관리사2급도 공부를 빡세게했다. 운이 좋게도 이번 2025년 정보통신기사 1회 시험에서 12점 짜리 루핑 문제가 나왔는데 해결방법을 묻는 문제에서 STP프로토콜(네관2급에서 배웠던)이 나와서 운좋게 이 문제를 맞춤으로 합격권에 가까워졌다.
내가 느낀 바 네트워크관리사2급은 별도의 교재나 인강없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이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2급 실기 합격 후기 (1) | 2025.07.04 |
---|---|
2025년 1회차 정보통신 기사 합격 후기 (0) | 2025.05.09 |
리눅스 마스터2급 1차 후기 (0) | 2025.05.03 |
2024년 4회차 정보통신기사 필기 합격 후기 (0) | 2025.04.28 |
정보처리기사 획득 후기 (0) | 2025.04.26 |